화사한 꽃들이 만개하고 따스한 햇살이 쏟아지는 완연한 봄, 답답한 도시를 벗어나 자연 속에서 힐링하는 캠핑은 누구에게나 설레는 경험입니다. 사랑하는 가족, 특히 해맑은 아이들과 함께 텐트를 치고 맛있는 음식을 나누며 별빛 쏟아지는 밤하늘을 바라보는 추억은 더없이 소중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아름다운 순간들이 예상치 못한 안전사고, 그중에서도 뜨거운 물질로 인한 화상이나 날카로운 물체에 의한 열상으로 얼룩질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더욱이 최근 통계에 따르면 봄철 캠핑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절반 이상이 바로 화상과 열상이며, 그 중심에는 아이들의 부주의한 행동과 보호자의 순간적인 방심이 자리하고 있어 더욱 주의가 요구됩니다.
출처:한국소비자원 |
출처:한국소비자원 |
1. 캠핑장 안전사고, 안심은 금물!
한국소비자원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2020년~2024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캠핑장 관련 안전사고는 총 409건에 달하며, 안타깝게도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사고 원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사고가 21.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지만,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은 고온 물질로 인한 사고가 16.9%로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는 점입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안전사고로 인해 실제로 위해를 입은 380건을 분석했을 때, 화상을 입은 사례가 30.0%(114건)로 가장 많았고, 베이거나 찢어지는 열상을 입은 경우가 29.2%(111건)로, 이 두 가지 유형의 사고가 전체의 59.2%(225건)를 넘어서는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입니다.
2. 봄철은, 캠핑 안전사고 발생 위험 최고 시기!
특히 봄 캠핑의 시작을 알리는 3월은 ‘화재·발연·과열·가스’ 관련 안전사고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달로 나타나, 춥고 건조한 날씨 속에서 난방 기구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화재 예방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실제로 캠핑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난로, 화로대, 휴대용 가스버너, 부탄가스, 토치 등 난방 및 가열 용품 사용 중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의 32.0%(131건)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습니다.
3. 어린이 안전, 한순간의 방심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더욱 가슴 아픈 현실은 캠핑장 안전사고의 상당 부분이 가족 단위 캠핑을 떠난 ‘만 13세 미만의 어린이’에게 집중적으로 발생(61.2%, 240건)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30~40대 부모들이 어린 자녀와 함께 캠핑을 즐기는 과정에서 안전 관리에 소홀해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시사하며, 보호자의 끊임없는 관심과 주의만이 우리 아이들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실제로 텐트 줄에 걸려 넘어지는 사고, 난로에 데이는 화상 사고, 해먹에서 떨어져 골절상을 입는 사고, 심지어 텐트 안에서 숯불을 피워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의식을 잃는 심각한 사고까지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큰 경각심을 줍니다.
4. 아이들을 위한 캠핑 안전 수칙, 꼼꼼히 확인하고 실천하세요!
소중한 우리 아이들이 안전하게 봄 캠핑의 낭만을 만끽할 수 있도록, 화상 및 열상 사고를 예방하고 전반적인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한 몇 가지 중요한 안전 수칙을 숙지하고 실천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1. 아이 곁을 늘 지켜봐 주세요
- 캠핑장 내에서는 아이들이 뛰어다니거나 자전거, 킥보드 등을 타는 동안 보호자의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특히 뜨거운 불이나 난방 기구 주변, 날카로운 도구 근처에서는 아이들의 접근을 철저히 막고 안전거리를 유지하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2. 뜨거운 물질은 안전하게 관리하세요
- 불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서 피우고 주변에 소화기를 비치하며, 사용 후에는 잔불이 완전히 꺼졌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난방 및 취사 용품은 환기가 잘 되는 넓은 공간에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거나 가스 밸브를 잠그는 것을 잊지 마세요. 휴대용 가스버너를 사용할 때는 과도하게 큰 냄비나 불판을 사용하면 가열로 인해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적절한 크기의 조리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텐트 주변 환경을 안전하게 조성하세요
- 텐트, 의자, 해먹 등 캠핑 장비는 반드시 평평하고 안전한 곳에 설치하고, 텐트를 고정하는 줄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밝은색 천이나 야광 테이프 등으로 표시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밤에는 특히 시야 확보가 어려우므로 랜턴 등을 이용하여 주변을 밝히고 이동해야 합니다.
4. 밀폐된 공간에서 불을 사용한 난방은 절대 금지
- 텐트 내부와 같이 환기가 어려운 밀폐된 공간에서는 숯, 장작, 석유, 가스 등을 이용한 난방은 매우 위험하며 절대적으로 피해야 합니다. 부득이하게 난방 기구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반드시 설치하고 환기를 자주 해야 합니다. 저온 화상 예방을 위해 핫팩은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옷이나 수건 등으로 감싸서 사용해야 합니다.
5. 응급 상황에 철저히 대비하세요
- 캠핑을 떠나기 전 구급상자와 비상용품(랜턴, 라디오, 밧줄 등)을 꼼꼼히 준비하고, 캠핑장 주변의 응급 의료 시설(병원, 약국 등) 위치와 연락처를 미리 파악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즉시 응급 처치를 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의료기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하는 봄 캠핑은 더없이 소중한 시간입니다. 철저한 사전 준비와 끊임없는 안전 수칙 준수를 통해 화상, 열상 사고를 비롯한 각종 안전사고로부터 우리 아이들을 보호하고, 모두가 행복하고 안전한 봄날의 추억을 가득 만들어 가시기를 바랍니다.